1. 들어가며
중앙부처가 국민에게 세금으로 주는 혜택이 수백 가지가 넘고, 지방자치단체가 주는 혜택을 다 모으면 수천 가지가 된다.
공공기관과 교육청 등에서 주는 혜택까지 하면 1만여 건이 되는데, 이걸 아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 듯하다.
이러한 혜택을 '알아서' 해 주면 얼마나 좋겠냐마는,
대부분의 혜택은 당사자가 신청해야 받을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신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모르는 것도 어리석은 것이지만,
다 같이 세금 내고 살면서 본인에게 주어진 혜택을 알고도 누리지 못한다면, 이는 더 큰 어리석임이라 할 것이다.
일일이 자신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찾는 것은 고역일 터이나,
다행스럽게도 우리나라에는 '보조금24'라는 좋은 누리집이 있으니,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https://www.gov.kr/portal/rcvfvrSvc/main/
보조금24 | 정부24
신청대상 ∙ I유형 -(요건심사형) 중위소득 60% 이하, 재산 4억 이하(18~34세 청년은 재산 5억원 이하)이면서, 최근 2년 이내 100일 또는 800시간 이상의 취업경험이 있는 분 -(선발형) 요건심사형 중 취
www.gov.kr
2. 보조금24 서비스 간략 소개
보조금24는 정부24 누리집의 하위 페이지로 돼 있다.
접속해 보면, 보조금24가 어떤 서비스인지 그리고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돼 있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나'를 포함한 가족이 받을 수 있는 모든 보조금을 한 번에 확인하고 신청도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놀랍게도, 글을 쓰는 현재 일자 기준으로 1만여 개의 보조금 정보가 보조금24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다.
3. 보조금24 이용 방법
이용 방법도 어렵지 않다.
앞서 말한 것처럼 보조금24는 정부24의 하위 페이지이기 때문에 이미 정부24에 가입하였다면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
아직 정부24 가입 전이라면 안내에 따라 정부24에 가입하면된다.
휴대폰으로 인증하는 간편인증, 공동인증서, 공인인증서 등 본인이 사용하기 편한 인증서를 활용해 가입할 수 있다.
가입 완료 후에는 위의 인증 수단을 통해 로그인이 가능하다.
로그인을 하게 되면 본인이 신청 가능한 혜택, 확인 필요한 혜택, 받고 있는 혜택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온다.
위 창에서 혜택의 숫자를 클릭하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혜택 조회하기를 누르면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 그에 맞는 혜택이 추가로 조회된다.
4. 나가며
지식정보 사회는 정보의 부익부빈익빈 현상을 동반한다.
그리고 정보 접근성 내니 활용성이 떨어져 유통된 정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생겨나게 된다.
정부 등에서 지원하는 보조금 정책이 1만여 개가 넘어도 이것을 알지 못하고,
또한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지 예상하기 힘들다.
정부든 지자체이든 언젠가는 '알아서' 챙겨주는 시대가 올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언제 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세금을 내는 국민으로서, 정부 등이 지원하는 보조금 정책은 어찌 보면 '혜택'이 아니라 '권리'에 가깝다.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조금이라도 쉽게 누릴 수 있게 한 보조금24 서비스가 그래서 더욱 반갑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actical Information] Korean Vocabulary List for Foreign Learners (0) | 2024.08.25 |
---|---|
[생활정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 (0) | 2024.08.25 |
[금융] 내게 필요한 보험, 이제 곧 플랫폼에서 비교·추천받는다(금융위원회, 플랫폼의 보험상품 취급 시범운영 방안 마련) (0) | 2023.04.08 |
[일상] 봄, 매화, 그리고 챗GPT(2023.03.03.) (0) | 2023.03.07 |
[건강] 요소호기검사(2023.02.14.)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