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바이오디젤 관련주_제이씨케미칼(137950) 주가 전망 및 매매전략

하늘이 노랗다 2023. 5. 22. 21:20
반응형

1. 기업 내용

- 바이오디젤 등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바이오연료 사업은 바이오디젤(BD100), 바이오중유를 제조하여 정유사와 발전사 등에 공급하며, 국내 최초로 바이오디젤 연속식 생산 공정을 자체 설계하여 완공하였다.

- 오일팜 플랜테이션 사업은 해외에서 유지작물 재배를 통해 바이오에너지 원료를 생산하고, 국내에서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수직 계열화 체계를 완성하였다.

-  매출액은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중유 및 해외 Plantation 사업의 매출 증가로 성장하였으나, 매출 원가율과 판관비 상승 등으로 수익성이 하락하였다.

- 수송용 경유에 대한 바이오디젤의 의무 혼합률은 2020년 7월부터 3.5%로 상향되었고, 3년 단위로 0.5p씩 상향하여 2030년 5.0%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 바이오디젤이 주무기이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이 진행되면 그 부근의 농장 가치도 크게 부각될 수 있다.

반응형


2. 재무 상태

- 2023년 5월 22일 현재 시가총액은 1,933억 원이다.

-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17억 원이다.

- 영업이익은 423억 원, 당기순이익은 192억 원이다.

- 부채비율은 115.24%, 유보율은 1,238.74%이다.

=> 화학 업종을 볼 때마다 이 업종에 저평가된 회사들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 제이씨케미칼도 그중 하나이다. 돈 잘 벌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1분기 실적도 상당히 잘 나왔다. 그 덕분인지 최근 주가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3. 최근 이슈

- 석화업체 올 1분기 매출 전체적으로 부진…한화 웃고 VS 롯데케미칼 울고

- 제이씨케미칼, 외국인 10.42만 주 대량 순매수... 주가 +6.46%

- 제이씨케미칼, 당해사업연도 1분기 연결 영업이익 81.80억 원

- [리포트 브리핑]제이씨케미칼, '인니 수도 이전, 탄소 중립 정책의 장기적 수혜 기대' Not Rated - KB증권

- 제이씨케미칼, 지난사업연도 연결 영업이익 426.49억 원

- 韓 종합상사, 인니 新수도 인근에 교두보 속속 마련

=> 어려운 업황 가운데에서도 1분기에 상당히 준수한 성적을 올렸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괜찮은 실적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2024년에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 이슈도 있으니 이와 관련한 움직임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4. 기술적 접근

- 2022년 4월 28일에 16,750원을 기록한 것이 제이씨케미칼의 최고가이다.

- 이후 하락세를 이어 왔으며 2022년 9월 28일에는 6,240원을 기록하며 바닥을 다져왔다.

- 올해 1분기 실적 발표를 즈음하여 상승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 바닥에서 20% 이상 올라온 모습이나 추가 상승이 가능해 보인다.

=> 2022년 11월 15일 고점을 시원하게 뚫지 못했다. 내일 바로 갈지, 조정받고 갈지는 알 수 없으나, 그렇게 힘겨운 자리로 보이진 않는다. 9,500원까지는 어렵지 않게 갈 것으로 보인다.

제이씨케미칼 일봉 차트

 

5. 매매 전략

- KB증권의 리포트에서 제이씨케미칼의 투자 포인트를 잘 짚어 놓았다. 

- 리포트 내용은 1) 주가와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CPO 가격은 하락 이후 안정화 구간에 진입했다는 것, 2)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 시, 급격히 상승할 자산가치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제이씨케미칼이 이전될 수도 근처에 약 1만 헥타르 규모의 팜농장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등이다.

- 리스크 요인으로 경기 침체, 글로벌 정책 변화 등은 예상할 수 없는 변수이고, 이에 따른 CPO 가격의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에 대해 무시할 수 없다고 했으나, 이건 당연한 얘기다.

- 이평선들 간의 이격이 조금 벌어진 상태이니 무리하게 추격할 생각은 없고, 최대한 20일 이동 평균선 가까운 가격에서 분할 매수할 생각이다.

- 1차 목표가로 9,500원 부근을 설정하되, 거래량 실린 장대 음봉이 아니라면 하락을 추가 매수의 기회로 보고자 한다.

반응형